
6월로 예정되었던 청년도약계좌 출시가
벌써 눈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금융의원회가 발표한 것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8일에 1차 고시를 하고 반응을 본 다음 12일에 최종 금리를 결정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매월 70만 원 한도 자유납입
*기간 -5년 만기 적금 상품
*혜택- 정부 기여금과 이자소득 비과세
향후 기대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에 지원, 청년에게 도약의 기회 보장(3,678억 원)
1) 매월 70만 원 한도
2) 5년 만기
3)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
정부에서 기여금을 투자하여 청년들에게
중장기 자산 형성에 도움을 주고 발판을 마련하도록
도약의 기회를 제공하는 정부 사업으로
청년 도약 계좌 운영에 있어서 미래세대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측면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공약 때 약속한
정책형 금융상품이기도 합니다

*가입대상-청년 만 19세~34세
*개인소득 총 급여 6천만 원 이하는
정부 기여금 지급, 비과세 적용
6,000~7,500만 원은 비과세만 적용(기여금 없음)
*가구 소득- 중위 180% 이하 충족
*병역 이행-병역이행 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해줌
*지원내용-개인 소득 수준 및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매칭 지원하고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제공
기여금은 차등 지급이고
월 2.1~2,4만 원으로 소득이
6천만 원 넘을 시에는 지원이 되질 않습니다
소득구간에 따라 지급이란 것이지요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을 미산입 해주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 소득이 2,400만일 때
40만 원 세팅 시에 기여금은
24,000원을 받지만 6천만 원이
되면 70만 원 세팅해도 21,000원으로
기여금이 되어 있답니다
소득구간이 낮아야 기여금이 비율이 높아요
가입 후 3년은 조정금리, 2년은 변동금리
저소득층 청년-우대금리 부여
가입 심사-'23. 6월 중 취급 기관 앱 신청
금리는 아직 정해진바 없지만
지난달에 사전점검 회의 때
1차 사전 공시를 통해 금리 비교, 조정 과정 등을
거쳐서 12일 최종 금리를 발표합니다
은행 간의 금리 차이가 드러나고
여론 형성을 통해서 최종 금리
차이는 축소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최종 목표가 5천만 원이기 때문에
금리가 5%~7% 사이에 설정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복 가능-청년 내일 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 공제, 지자체 상품,
중복 불가-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 해지 후 순차가입 허용

중요한 사실은 다른 상품 가입 중에 중복이 되느냐인데요
지자체 상품이나 청년 내일
저축계좌와 청년내일채움 공제는
동시 가입이 가능하지만
청년희망적금은 만기나
중도해지 후에 순차적으로
가입이 허용이 된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구 소득이 180% 중위에 속해야 가입이 되니
부모님의 소득이 많다면 가입이 안 되겠죠???
이럴 때는 세대분리 후 1인
가구로 전환 후에 가입 신청 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이웃님들도 성투되세요